사업개요
위치
개발면적
약 806천㎡
도입시설
- 월드디자인센터(상설전시장, 엑스포 시설)
- 호텔, 외국인 전용 주거시설 및 국제학교
- 특화 상업 및 업무시설, 주택, 부대시설 등
사업비 : 약 6조 3천억원
- 1단계 : 1조 3천억(공공)
- 2단계 : 5조원(민간)
사업기간
2012년 ~ 2020년(2018년 1단계 준공)
사업의 배경
사업의 위치
구리월드디자인시티(GWDC)의 기능과 역할
파급효과
- MICE 산업의 활성화로 국가의 신성장 동력 개발
- Asia Hospitality Design Capital로써의 입지 선 확보
- 디자인 관련 신 직장 창출과 해외 진출 기회 제공
- 건축 및 인테리어 분야 한국 문화의 세계화
- 수출입에 대한 아시아 허브 역할
- 건축 및 인테리어 부문의 유통 구조 혁신으로 도시 재개발의 모델 제시
- 경기 동북부의 가구, 섬유, 도자기 등의 새로운 도약의 계기
디자인시티의 개념
FF&E(Furniture, Fixture &Equipment)
B.O.H.(Back of the House)
호텔,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되는 고객이 볼수 없는 지역 즉 주방, 창고 등에서 보관하고 사용하는 제품(주방용품, 컵, 그릇, 커피머신, 연회용 테이블, 의자 등)
Concept Design 이란?
조직 구성과 연간 프로그램
디자인시티의 고객과 입주자
디자인시티 입지 조건
디자인 시티는 숙박에 대한 해결과 다양한 유형의 소규모 초청연회 등을 할 수 있는 연회장들과 방문객이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시설들이 필수적으로 필요며, GWDC 건립을 위해 또 다른 가장 중요한 요소로써, 외국인들이 살아 갈 수 있는 주거와 교육 환경 등이 보장 되어야 한다.
또한 Expo와 관련하여 방문하는 외국인들을 위한 문화 컨텐츠와 방문객 가족 및 일반 관광객들을 위한 관광 상품 개발 역시 중요한 요소로, 세계 각국에서 개최되고 있는 Expo &Trade Show는 약 10년 전부터 가족여행과 겸할 수 있는 여행패키지로 전환되었다.
MICE 산업인 GWDC는 선진국 대도시의 경우처럼, 도시 운영의 핵이 되는 주력 산업이다.
- 1. 대도시/대도시권과 인접한 도시
- 2. 국제 공항에서 1시간 이내 거리
- 3. 5성급 이상 숙박시설 40,000 room 이상
- 4. 동북아메리카에서 항공으로 6시간 이내
- 5. 항공 및 해상 화물 및 내륙 교통망 확보
- 6. Incentive Travel 구비도시
- 7. 외국인 생활 환경 및 교육 보장
- 8. 보세 조립 공장 근접지역
- * 입지조건에서 가장 큰 이슈는 숙박시설이다. 대형 엑스포의 경우, 최저 객실 수는 40,000객실이다. 이를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콘도 8,000세대가
엑스포 기간 동안에는 Exhibitor들이 사용하는 호텔 겸용으로 설계되었다.
(Highpoint trade show의 경우를 참조한 것이다.)
디자인 엑스포 사례
HD Expo &Conference in Lasvegas

Hospitality Contract Design Expo의 주최, 주관 측은 세계 유명 디자인 잡지사와 연계되어 있고, 디자인 관련 각 협회들과 컨소시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Neocon World's Trade Fair, Merchandise Mart in Chicago
디자인도시 개발사례
Atlanta, USA

1960년대 폐허가 되었던 도시 중심지를 다시 살리기 위해 애틀랜타 시장과 Portman사의 아이디어로 America Mart& Merchandise Mart를 도시 중심부에 건설하여 오늘날 미국에서 가장 발전하는 MICE산업형 3대 도시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High Point, USA

세계 최대의 디자인 도시로써 도시 중심지 전체에 산재해 있는 188개 빌딩에 14,000개 회사가 입주해 있으며 엑스포 기간동안 80,000명의 디자인 전문가가 참석하여 60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숙박시설을 해결하기 위해 대형 엑스포 기간 동안은 시민들이 살고 있는 집을 임대해 주고 시민들은 Vacation을 가며, 이 기간 동안 학교도 휴교를 하여 학생들은 엑스포에 참여한 각 회사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시스템으로 모든 숙박과 인력을 해소하고 있다.
디자인시티 개발사례
사업배경
디자인센터는 관광·호텔산업 등의 호스피탈리티 산업과 이에 따른 공급 가구·인테리어 산업, 디자인산업이 왕성한 미국에서 발달한 시설로서, 디자이너와 바이어를 위한 주문제작, 트레이드쇼 등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구제조업, 디자인산업 뿐만 아니라 유통업, 전시/회의산업, 호텔/관광산업 등 전후방효과가 매우 큰 선진국형 신성장 융합산업임.
디자인센터는 현재까지 아시아에 전무한 시설이나, 아시아 지역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도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디자인센터의 입지요인으로는 시장수요 규모, 제조기술력, 도심권 가용지 확보가 중요
이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시장수요 규모로 비행시간 2시간대, 최대 6시간대의 호텔, 오피스, 부유층의 규모가 관건이며, 서울(구리)을 중심으로 한 2시간대 변경 설정시 한국, 일본과 중국 북경권, 상해권 및 대만까지 포함되어 상해, 홍콩, 싱가로프의 입지보다 시장수요 확보 차원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남.
디자인센터는 대규모 유통시설이자 전시시설로 교통과 호텔서비스가 용이한 도심권 가용지가 필요하며, 이런 점에서 구리시 개발제한구역은 큰 메리트가 될 수 있음. MICE와 연계된 관광 측면에서도 도심 관광, 경기 동부권, 강원권 관광의 연결 요충지인 구리시가 유리하고, 경기북부권의 가구·섬유 제조업과의 연계성 측면에서도 최적지로 평가됨.
2개의 랜드마크 타워는...

디자인시티의 2개의 랜드마크 타워는 아차산의 고구려 왕조와 동구릉-왕숙천으로 연결되는 조선왕조를 상징하며, 왕조의 상징인 봉황새가 알을 낳고 물에서 비상하기 위해 날기 직전의 모양을 형상화한 것으로 서쪽타워는 고구려의 “봉”, 동쪽타워는 조선의 “황”이 합쳐져 “구리월드디자인시티”라는 알을 낳고 비상하여 아시아 전체의 중심이 된다는 뜻이다.
데크형 브릿지는...

43번 국도와 강북 강변으로 단절된 환경 네트워크를 조성하기 위해 도보와 자전거로 통과할 수 있는 데크형 브릿지를 만들어 한강과 아차산 디자인 시티 지역을 연결시켰다. 서쪽 43번 국도, 강북 강변의 데크는 “온달브릿지”로 명명해 고구려의 강함과 고수부지에 야외 “Sports Arena"와 연결하였고, 중앙 GWDC와 연결되는 데크는 봉황의 상징인 ”코리안 피닉스 브릿지“로 명명하고, 야외 행사용용의 음악당을 두어 ”피닉스 Bowl" 과 연결하였으며, 동쪽의 디자인 아카데미와 연결되는 데크는 “Morning Calm 브릿지”로 명명하여 거북선 형상의 부두와 연결된 “Water 테마 파크”로 조성 계획을 세웠다.
수로계획은...

도시를 가로지르는 청계천 형태의 인공수로를 “구리천”이라 명명했으며, 왕숙천-구리시-장자호(확장)-한강으로 둘러 쌓인 GWDC City는 성곽안을 보호하기 위한 해자를 뜻하는 것이며, 탄소 “0”dml 녹색 환경 도시를 구축하면 역사와 함께하는 “이야기가 있는 도시”로 계획하였다.
Design Center Zone |
Design Center - contract + residential + Gift and Home 결합 - 엑스포와 트레이드 쇼를 위한 대형 전시공간 - 콘퍼런스, 포럼 등을 위한 공간 Hotel and Service Apartment -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트렌드와 스포츠센터 그리고 뷰티 프로그램 등이 접목된 최고급 비즈니스 호텔 |
---|---|
Commercial Zone |
- 보행자 중심의 중심지 - 상업지구의 중심지와 지하도시의 연결 |
Unerground City |
- 디자인시티, 호텔, 상업지역, 준주거지역을 지하로 연결하는 운하도시 - 4계절 같은 분위기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sustainable 중심지 |
Foreigner's Village |
8개의 테마별 마을로 구성 - Canal Village, Lake Village, Art Village Peninsula Village, Golden Gate Village, Watergate Village, Veranda Village - 독특하고 차별화된 디자인 고려 - 입주자의 기호에 맞는 디자이너 선택의 5 star living 디자인 |
Academy Zone |
- 외국의 유명 디자인 대학원과 디자인 학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와 학생들을 위한 주거 공간으로 구성 - 디자인시티와 연계된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적인 인재 양성 역할 |
Bank of Han River and Deck Tunnel |
- 도심속에 새롭게 결합된 문화와 스포츠 공간으로 창출 |
Mixed-use Along New City Boulevard |
- 디자인시티, 상업지역, 준주거지역이 연결된 도시의 심장으로써, 도시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자족 도시 |
Gated Community |
- 아차산과 연결된 가장 친환경적인 개발 사례 - 한국 최초로 시도되는 mini 베벌리힐스 |
입지조건
- 대상지가 속한 구리시는 수도권 동북부지역의 관문으로 수도권의 동축과 서축을 상호연결하는 핵심도시로서, 서울시 4개 자치구와 남양주시 및 하남시와 연접하고 있음.
- 사업지구는 인천국제공항에서 동측으로 60Km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항고속도로 및 강변북로를 이용하면 1시간 정도 소요됨.
- 대상지 주변에 한강 및 아차산이 위치하여 주변지역 자연환경 우수
- 대상지내 장자못 호수공원이 위치해 있으며, 동측으로 왕숙천이, 남측으로 한강이 유하하고 있음
기본구상
개발 목표
- 친수구역을 활용한 친환경 미래도시 조성
- 계획적, 체계적 개발을 도보한 친환경 도시 조성
- 역사·문화, 디자인, 생태가 융합된 신 개념의 미래도시 조성
- 미래형 도시조성을 통해 고품격 정주환경 및 교육환경 제공
- 자족기능 유치 및 경기 동북부 신성장거점 확보
- 구리월드디자인센터 및 관련 기반시설의 유치를 통해 아시아 최대규모의 Contract Design분야 총본부 건설
- 국제적 디자인 엑스포 유치를 위한 MICE산업의 복합단지 조성
개발컨셉
- GWDC를 중심으로 한 Hospitality Design분야 아시아 허브 국제도시건설
- 디자인센터가 주축이 되는 친환경 리조트형 도시개발
개발 기본구상
- 구리월드디자인센터 등 자족시설기능을 중심으로 상업, 주거, 여가기능 배분
- 기능별 연계 도모 및 도입기능 특성에 적합한 용지 배분
- 복합적 토지이용으로 토지효율성 제고 및 주변지역과의 조화 도모
토지이용계획
디자인센터
구분 | 도입기능 | 도입시설 |
---|---|---|
디자인센터 | 디자인센터(GWDC) | 상설쇼룸, 비상설전시장(컨벤션시설) |
디자인센터 지원기능 |
비즈니스 | 랜드마크타워(오피스, 호텔, 상업) |
특화상업 | 복합쇼핑몰(엔터테인먼트 시설 복합) | |
숙박 | 뷰틱호텔 | |
디자인교육 | 디자인스쿨(디자인 관련 대학원, 애니메이션 센터) | |
디자인센터 배후 지원기능 |
정주 | 주거, 보금자리 주택, 주상복합 |
교육 | 국제학교(외극인 학교) |
- 상설쇼룸 : 약 1,000개 미국 디자인 브랜드회사 입주기능별 3개 건물로 구성
- 비상설전시장(컨벤션시설) : 행사 개최시 약 1,000개 업체 입주 디자인센터 내 트레이드쇼를 위한 대규모 공간 설치
디자인센터 지원기능
- 랜드마크 타워(오피스, 호텔, 상업, 레지던스) : 디자인센터와 연계개발 추진
- 아웃도어형 복합쇼핑몰 : 엔터테인먼트 시설과 복합
- 뷰틱호텔 : 한강변 워터테마파크시설과 연결
- 디자인스쿨 : 디자인센터와 함께 산ㆍ학ㆍ연 클러스터 구축
디자인센터 배후 지원기능
- 주거단지 : GWDC에 입주할 2000개 회사의 직원들의 주거공간 확보
- 국제학교(외국인 학교) : 주거와 연계하여 개발
토지이용계획
구분 | 면적 | 비율(%) | 비고 | ||
---|---|---|---|---|---|
㎥ | 평 | ||||
총 계 | 806,649 | 244,011 | 100.0 | ||
주거 용지 | 합 계 | 195,708 | 59,201 | 24.3 | |
단독주택 | 8,871 | 2,683 | 1.1 | ||
아파트 | 186,837 | 56,518 | 23.2 | ||
상업 용지 | 합 계 | 58,603 | 17,728 | 7.3 | |
주상복합 | 13,282 | 4,018 | 1.7 | ||
상업시설 | 45,321 | 13,710 | 5.6 | ||
자족 시설 용지 | 합 계 | 166,367 | 50,326 | 20.6 | |
전시ㆍ업무ㆍ호텔 복합시설 | 166,367 | 50,326 | 20.6 | 디자인센터 등 | |
공공 시설 용지 | 합 계 | 385,971 | 116,756 | 47.8 | |
주차장 | 5,710 | 1,727 | 0.7 | ||
공 원 | 147,037 | 44,479 | 18.2 | ||
녹 지 | 20,321 | 6,147 | 2.5 | ||
도 로 | 212,798 | 64,371 | 26.4 | ||
보행자전용도로 | 105 | 32 | 0.0 |
인구 및 주택건설계획
주택 유형별 인구수용계획
- 본 사업지구는 친수구역의 특성을 반영한 중저밀의 밀도계획을 설정하여 총 수용세대수 4,009세대, 수용인구 10,584인으로 총밀도 115인/ha로 계획
구분 | 면적(㎡) | 건설호수 | 인구(인) | 용적률(%) | 평균규모(㎡) | |||
---|---|---|---|---|---|---|---|---|
(호) | (%) | |||||||
총 계 | 383,171 | 4,009 | 100.0 | 10,584 | - | - | ||
단독주택 | 8,871 | 37 | 0.9 | 98 | 100 | 238 | ||
주상복합 | 13,282 | 241 | 6.0 | 636 | 240 | 132 | ||
공동주택 | 합 계 | 186,837 | 3,731 | 93.1 | 9,850 | - | - | |
임 대 | 소 계 | 16,656 | 466 | 11.6 | 1,230 | - | - | |
60㎡이하 | 16,656 | 466 | 11.6 | 1,230 | 220 | 78.7 | ||
분 양 | 소 계 | 170,181 | 3,265 | 81.5 | 8,620 | - | - | |
60㎡이하 | 41,051 | 1,148 | 28.6 | 3,031 | 220 | 78.7 | ||
60~85㎡이하 | 30,570 | 633 | 15.8 | 1,671 | 220 | 106.2 | ||
85㎡초과 | 98,560 | 1,484 | 37.1 | 3,918 | 220 | 146 |
교통계획
광역교통계획
- 사업지구와 강변북로를 연결하여 고속국도와 연계되는 광역 연계체계 구축
지구내 교통계획
- 지구내 남북측인 벌말로의 기능을 강화하고, 지구내 우회도로 신설
공원 및 생태녹지계획
공원계획
- 지구 내 수변공간(장자호 및 소하천 등)과 서측 아차산의 대규모 녹지의 연계 계획을 통한 통경축 및 바람길의 요소 활용
- 인공호수인 장자근린공원의 수변공간을 리모델링하여 수변휴식공간·생태정화공간·수변조망공간 등 다양한 테마별 장소를 구성
녹지계획
- 지구 남측 강변북로변 15~130m의 완충녹지를 조성하여 간선도로변 유해환경의 완충 작용 외에도 거주민 및 방문객의 녹지 접근성 증대 도모
- 지구내 35~40m 간선도로와 접한 주거용지 내 15m의 완충녹지를 확보하여 차량 소음 및 매연을 차단, 쾌적한 정주환경 조성
경관계획
경관이미지 구상
- 독자적인 경관 및 이미지 창출을 위한 지역적 상징과 대상지의 장소성을 고려하여 도시의 비전과 경관이미지를 설정하며 이를 실현할 수 있도록 테마 구상
경관구조구상
- 도시이미지를 실현하는 경관형성을 위하여 Axis(축), Zone(권역), Node(거점)과 같은 공간구조를 설정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경관기본구상도를 작성
경관기본계획
- 토지이용의 성격에 따라 친환경 저밀도 주거중심 권역인 Green Community Zone 특화기능권역인 자족복합 Community Zone과 지역간 교류 권역인 공공복합 Community Zone, 생태형 친수공간인 수변 Eco Zone으로 세분
구분 | 이미지 | 경관테마 | 연출방향 |
---|---|---|---|
Green Community Zone | 친환경 생태 주거단지 | Natural Housing |
|
자족복합 Community Zone | 지식의 교류와 창조가 이루어지는 융복합 자족단지 | Dynamic Complex |
|
공공복합 Community Zone | 커뮤니티 중심의 행정복합단지 | Amenity Town |
|
수변 Eco Zone | 한강과 조화를 이루는 생태형 친수공간 | Eco Belt |
|
통경축 계획
- 친수구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지구 배후의 기성시가지에서 한강의 조망이 가능토록 통경축 계획
- 지구 내·외의 Open Space간의 바람길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계획
환경보전 및 물순환계획
저영향 개발 기법(LID) 적용 계획
- 공공청사 및 학교, 공원 등 오픈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한 시설을 통한 빗물관리 체계구축
- 공원 내 저지대 및 저하, 주차장, 운동장 지하부에 저류활용시설을 계획하여 재해지방 및 수자원 확보
친수공간 조성계획
- 지구 중심을 관통하는 소하천을 계획하여 거주민의 수변 휴식공간 극대화·친수 접근성 증대 및 친수 도시이미지 부각
- 장자호 및 지구내 친수공간에 수생식물을 통한 정화습지 조성 및 습지벨트 조성으로 자연정화 체험기회 제공
친환경 특화계획
- 학교의 교실, 문화 및 집회시설의 공용부분(복도, 화장실, 휴게실, 로비 등)은 1면 이상 자연채광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채광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
- 친환경적단지 조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활용 및 공급시설의 설치
2007년 하반기 | 월드디자인센터 구상 착수 |
---|---|
2008. 03월 | 컨셉마스터 플랜 JPA 발주(민간부분-K&C Associates) |
2009. 03월 | 해외업체와 MOU 체결(구리시) HD Group(The Nielsen Company) ⇒ 디자인 엑스포의 개최 Carver &Associates ⇒ 세계적인 디자인 기업500개 이상, 오성급 호텔 2개 유치 등 |
2009. 05월 |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GB해제물량 확보(1.690㎢, 50만평) |
2009. 08월 | 구리시-LH공사 타당성 분석 용역 공동발주(서울대 산학협력단/한국기업평가) |
2009. 10월 | 2010년도 경기도 중점지원 대상 개발프로젝트 선정 |
2010. 04월 | 해외기업 유치 등 사업타당성 용역 Nielsen Group 발주(민간부분-K&&C Associates) |
2010. 06월 | GWDC 국제자문위원회 구성 |
2010. 10월 | 국제자문위원회 발대식(미국 뉴욕, 60개 기업 참여) |
2011. 01월 | GWDC 타당성 용역 준공(서울대 산학협력단) |
2011. 01월 | 구리시-국제자문위원회 기업유치에 관한 MOU 체결 |
2011. 05월 | 2011년 제1회(2차) 국제자문회의 개최(미국 라스베가스) |
2011. 05월 | 2차 컨셉마스터 플랜 RTKL 발주(민간부분-K&C Associates) |
2011. 06월 | 제1회 국제 디자인&도시개발 콘퍼런스 개최(서울, 워커힐호텔) |
2011. 09월 | 2011년 제2회(3차) 국제자문회의 개최(미국 뉴욕) |
2011. 11월 | 20억불 투자양해각서 체결(구리시-VIVA VINA Inc.-K&C) |
2011. 12월 | 1, 2차에 걸쳐 4억불 VIVA VINA 외국인투자신고(코트라) |
2012. 04월 | Global Cities Capital Assoicates와 구리시간 GWDC 내 호텔에대한 직접투자 MOU 체결 |
2012. 04월 | 2012년 제1회(4차) 국제자문회의 개최(미국 로스앤젤레스) |
2012. 05월 | 도시관리계획 및 도시개발구역 지정 용역 착수 |
2012. 08월 | 제2회 국제 디자인 &도시개발 콘퍼런스 개최(서울, 워커힐 호텔) |
2012. 09월 | 구리도시공사(사업시행자) 설립 |
2012. 10월 | 구리월드디자인시티 친수구역 지정 제안(구리시 → 국토해양부) |
2012. 10월 | 개발행위허가 제한 고시 (기한 2012. 10. 29. ~ 2015. 10. 28.) |
2012. 11월 | 2012년 제2회(5차) 국제자문회의 개최(미국 뉴욕) |
2012. 11월 | 구리월드디자인센터 입주 기업과의 MOU 체결 |
2012. 12월 | 친구구역 지정을 위한 공람 요청(국토해양부 → 구리시) |
2012. 12월 | 구리월드디자인시티 친수구역 지정을 위한 주민 공람(기한 2012. 12. 7. ~ 12. 31.) |
2012. 12월 | 도시관리계획〔개발제한구역〕결정(변경)안에 대한 주민 공람(기한 2012. 12. 7. ~ 12. 31.) |
2013. 01월 |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주민 설명회 개최 |
2013. 02월 |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
2013. 02월 | 구리 도시관리계획(개발제한구역 해제) 결정 신청(경기도→국토부) |
2013. 03월 | 토지거래계약 허가구역 지정 공고 (경기도공고 제2013-319호, 2013.3.7.) |
2013. 04월 | 2013년 제1회(6차) 국제자문회의 개최(미국 샌디에이고) |
2013. 11월 | 2013년 제2회(7차) 국제자문회의 개최(미국 뉴욕) |
2013. 12월 | 중앙도시계획위원회 1차 심의 |
2013. 12월 | 중앙도시계획위원회 2차 심의 |
2014. 03월 | 2014년 제1회(8차) 국제자문회의 개최(미국 샌디에이고) |
2014. 05월 | Development agreement 구리시의회 통과 |
2014. 05월 | Development agreement 체결 |
2014. 05월 | 지방재정 중앙 투·융자 심사 신청 |
2014. 06월 | 중앙도시계획위원회 3차 심의 |
2014. 07월 | 중앙도시계획위원회 4차 심의 |
2014. 07월 | Treasure Bay Group과의 투자 MOU 체결 (NIAB, INC.- TBG) |
2014. 08월 | 국회의원회관 구리월드디자인시티 조성사업 토론회 참석 |
2014. 10월 | Bainbridge Investments와의 투자 MOU 체결 (NIAB, INC.- BBI) |
2014. 11월 | 2014년 제2회(9차) 국제자문회의 개최(미국 뉴욕) |
2014. 11월 | 중앙도시계획위원회 5차 심의 |
2014. 12월 | 중앙도시계획위원회 6차 심의 |
2015. 03월 | 중앙도시계획위원회 7차 심의 조건부 의결 |
2015. 04월 | 2015년 제1회(10차) 국제자문회의 개최(미국 샌디에이고) |
2015. 05월 | 외국인투자계획 발표회 개최(프레스 센터) |
2015. 07월 | 7개 건설사(CI), 2개 전략적 투자자(SI)와의 MOU 체결 |
2015. 08월 | 1개 건설사(CI), 2개 전략적 투자자(SI)와의 MOU 체결 |
2015. 09월 | 구리월드디자인시티 조성사업 Autumn Forum 개최(프레스 센터) |
2015. 09월 | 국내 건설, 전략적 투자자 컨소시엄 구성 |
2015. 09월 | 국내 디자인단체와의 구리월드디자인시티 Forum 개최(구리 아트홀) |